-
Android Programming 230103(3강)스인개 데이터디자인(12.28-06.23)/추가-안드로이드(비공개) 2023. 1. 11. 01:40
1강 - 환경구축 / 안드로이드 개요
1. 환경구축
① 다운로드 : 구글 검색 (android studio) - Download Android Studio & App Tools - Android Developers 클릭 - Download Android Studio 초록버튼 클릭 - 설치동의 및 다운로드
+ developers.android.com 는 개발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.( search에다 'camera'등을 쳐서 관련 기능을 알아볼수있음)
② 설치 : 파일더블클릭 - 창 : NEXT - 가상머신설치하겠느냐 체크(이게 있어야 만들고 확인이 가능) - 설치위치 NEXT - 그대로 Install - Completed -Next -Finish => 조금 기다리면 다음 창(이클립스처럼 코딩언어를 입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 설치) : 첫번째는 이전에 설치한 경우/ 두번째는 처음 설치하는 경우 (두번째 선택하고 Next) - 문제가 생겼을 때 오류메시지를 보내겠는지 확인하는 창(Don't send 선택 & Next) - Next - 테마선택(Standard 선택 & next) - UI 테마 선택 & Next - Next - 라이센스 안내창이 뜸. 아래와 같이 표시해 놓은 2개만 클릭하고 Accept 반복해줌. - FINISH
- 이후 설치 진행 중 : 이 앱이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것에 허용하시겠습니까? 허용 - 문제되는 문구없이 설치 > Finish
2. 안드로이드의 개요
- 안드로이드를 배우는 목적
ICBM : 4차 산업분야의 선두주자로 I는 IOT의 약자,C는 Cloud, B는 BigData, M은 Mobile로 구성되어있으며, 모두 엮어서 사용하는 기술을 일컫는다. 모바일은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, 이동하면서 환경의 제약없이 쓸 수 있는 기술이다.
- 모바일 운영체제 : 모바일에서 실행되는 운영체제 / 모바일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제어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소프트 웨어 / 데스크톱 운영체제에 비해 부피가 작고 상대적으로 쉽게 개발 가능함.
- 피쳐폰의 특징 : 별도의 운영체제가 없고 통화기능, 문자 기능 제공 / 제조사에서 미리시 설치해 놓은 프로그램만 사용가능 / 잔고장이 없으나 소프트웨어 추가설치가 거의 불가.
- 스마트폰의 등장 : 2007년 아이폰의 등장으로 스마트폰의 시대가 열림. 곧바로 Android 출시(공개정책). 아이폰 전에는 윈도우폰이 주를 이루었지만 급격히 쇠퇴.
- Android의 등장 : 개발 주체는 OHA 컨소시엄으로 되어있지만 실질적 리더는 구글. 모바일 환경에서도 인터넷을 더 많이 보급시키고자 만들어졌으며, 이동 중에도 인터넷에 쉽게 접속 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제작. 비독점 개발 플랫폼을 지향(오픈소스) => 이로 인한 구글과 오라클의 법적다툼(자바)으로 새로운 언어인 코틀린(구글에서)이 나오게됨.
- 안드로이드의 구조 : 리눅스 커널을 통해 가상의 운영체제를 운영
- 안드로이드의 역사 : 버전별로 디저트의 이름을 따서 나옴 / Ginger bread 부터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 활성화됨. / P부터는 파이라는 이름을 시작으로 안드로이드 11, 12.. 숫자로 바뀌게 됨.
킷캣은 상품의 이름으로 이전과 다른 양상 +퍼센트가 낮을수록 최신폰에서만 사용가능. 수업에서는 Q버전으로 사용.
2강 - 환경구축
1. 환경구축
+ 프로젝트 : 어플을 만들 수 있는 전체적인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곳.
① 프로젝트 세팅 : New Project - 어떤 모양으로 만들 것인지 UI선택(폰&태블릿, wear os(워치 등)) : Empty Activity & NEXT - 하나의 화면에 대한 이름과 설정하기 : Name(어플의 이름), Package name(이름에따라 자동연결), Save location(저장위치), Language(Java로 선택), Minimum SDK(최소한 어느 버전까지 쓸수있게할지? Help me choice로 확인가능 / 29- Q버전) - Finish(첫 설치는 시간이 걸림) - 액세스 허용 - 왼쪽의 로딩 & 우측 하단의 파란바 설치진행확인.
② 화면 구조 : 가운데 - 코드입력부 / 오른쪽 - 사용법안내 > 우측 - 체크하여 없애기 / 왼쪽 - 디렉토리
③ 안드로이드 셋팅
1) 자동완성 기능설정 : File - Settings - Keymap- Windows 바 : Eclips 선택 - Apply
2) 코드의 크기 수정 : File - Settings - Editor - Font - size : 32 (주의: 폰트마다 코드입력스타일이 지정되어있으므로, 처음 설정대로 추천)
=> 이후 화면 설명
안드로이드는 처음 실행부터 AppCompatactivity(화면을 만드는 기능)를 import하게 되어있다.
class는 AppCompatActivity로 부터 상속받아 사용함.
이클립스와 다르게 onCreate 메서드로 시작함.